2025 DMC 인터네셔널 인플루언서 컨퍼런스 카드뉴스
서울--(뉴스와이어)--전 세계에서 활동 중인 인플루언서들이 디지털미디어시티에 모여 ‘공감’을 매개로 K-콘텐츠의 세계화에 대해 논의한다.
‘2025 DMC 인터네셔널 인플루언서 컨퍼런스’가 오는 5월 23일 금요일 오후 2시 서울 상암동 KGIT센터 4층 SMIT 미디어홀에서 개최된다.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SMIT)와 글로벌인플루언서협회 GINCON 및 DMC산학진흥재단이 공동 주관하고 인도상공회의소가 후원하는 이번 행사는 ‘K-Culture x SMIT x GINCON’이라는 슬로건 아래 K-콘텐츠의 확장성과 문화적 연결에 주목한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인도, 브라질, 영국, 카자흐스탄 등 세계 각국의 인플루언서들이 연사로 나서며, K-드라마, K-뷰티, K-라이프스타일 등 각 분야에서 축적한 글로벌 현장의 이야기를 공유한다. 특히 콘텐츠 산업이 감정과 공감의 언어로 진화하고 있다는 흐름 속에서 인플루언서들이 어떻게 자국 문화와 한국 콘텐츠를 연결하고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시선이 제시될 예정이다.
컨퍼런스에서의 첫 번째 세션인 ‘K-콘텐츠 - 인플루언서들의 영향력’에서는 인도 구독자들을 대상으로 ‘Korean Dost’ 채널로 활동 중인 유튜버 문해찬이 ‘K-콘텐츠는 왜 ‘문화 상품’이 아니라 ‘정서적 서비스’가 되었나? 인도에서의 첫 한류 전파, 그 ‘공감’의 힘’이라는 주제로 첫 번째 발표에 나선다. 그는 15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채널 ‘Korean Dost’를 통해 한국 문화를 인도 사회의 정서에 맞춰 해석하고 전달해온 대표적 인플루언서다. 그는 “K-콘텐츠는 이제 정체성이나 스타일을 넘어 감정과 공감을 매개하는 하나의 정서적 서비스”라고 강조한다.
두 번째로 브라질 출신의 방송인 카를로스 고리토와 유튜버 구혜원은 공동 발표를 통해 ‘가장 한국적인 K-컬처로 라틴과 통하다: 채널 ‘코레아니시마’ 이야기’라는 주제를 다룬다. 두 연사는 K-콘텐츠의 문화적 언어가 브라질이라는 전혀 다른 배경에서도 공감과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이유를 콘텐츠 소비자들과의 실시간 소통 사례로 풀어낸다.
이어 영국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 듀오 허진우와 해리엇 에밀리 그린이 발표자로 나서 ‘K-콘텐츠는 국경을 넘는 공감입니다 - 국제 커플이 전하는 리얼 스토리텔링’이라는 발표를 진행한다. 이들은 59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채널 ‘Jin and Hattie’를 운영하며 K-드라마 리액션 콘텐츠 등을 통해 글로벌 공감의 확산을 이끌어온 대표적인 사례로, 이번 발표에서는 그들이 경험한 문화 차이와 갈등, 그리고 그 속에서 만들어진 진솔한 이야기들이 글로벌 공감대를 형성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컨퍼런스에서의 두 번째 세션에서는 국내외 콘텐츠 전문가들이 연단에 오른다. 이번 행사를 주관하는 GINCON의 본부장을 맡고 있는 주성균 이사는 ‘공감은 세계 공용어다: K-콘텐츠가 글로벌을 사로잡는 법’을 주제로 K-콘텐츠가 전 세계 공감을 이끌어내는 구조적 요인과 그에 기반한 콘텐츠 전략과 글로벌 시장 공략법을 전한다.
SMIT AI 스타트업 부교수인 유훈식 교수는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트렌드’라는 제목으로 생성형 AI 기술이 콘텐츠 산업의 제작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높이는 새로운 패러다임과 실제 사례 등을 소개한다.
그에 이어 필앤아트스튜디오 신창권 대표는 본인의 경험을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 콘텐츠 제작 기술’에 대해 발표하며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시장 가능성과 글로벌 확장성, 그에 가용되는 최신 기술을 조명해 미래형 엔터테인먼트의 흐름을 조망한다.
마지막으로 ‘꽃보다 남자’, ‘궁’, ‘모범택시’ 등 40편이 넘는 한류 드라마를 제작해온 크리에이티브리더스 그룹에이트의 창립자이자 대표인 송병준 대표가 ‘K-컬처 리더십’을 주제로 글로벌 OTT 시대 속에서 K-드라마의 세계적 성공 배경과 그로 인한 국내 제작 환경의 변화, 그리고 지속 가능한 산업 성장을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컨퍼런스 총괄디렉터인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이동환 교수는 “이번 컨퍼런스는 단순히 K-콘텐츠를 소개하는 자리가 아니라 콘텐츠를 통한 문화적 공감과 연결의 구조를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자리”라며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는 이번 행사를 통해 글로벌 콘텐츠 교육의 중심지로서의 비전을 더욱 명확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국제 교육기관, 콘텐츠 산업 관계자, 인플루언서 지망생, 외국인 유학생 등에게 공개되며, 사전 등록은 온라인 폼 및 QR코드를 통해 가능하다.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소개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는 비즈니스 역량을 기반으로 예술적 능력과 기술적 능력이 조화를 이룬 미디어 산업의 전문 융합 인력의 육성을 목표로 2009년 3월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에 개교한 미디어 전문 고등교육기관이다. 특히 미디어 디자인, 미디어 제작에 중점을 두고 경영, IT의 실용적인 융합 학문을 추구하는 석사학위과정 대학원이다.